질병분류코드 검색 조회 방법 (통계분류포털)

의료기관이나 보험청구서, 건강검진 결과지 등을 보면 ‘질병분류코드’라는 단어를 종종 접하게 됩니다. 하지만 일반인 입장에서 질병분류코드가 무엇인지, 어디서 어떻게 조회해야 하는지 막막할 때가 많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질병분류코드의 개념부터,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을 통한 검색 방법까지 쉽고 자세하게 안내드리겠습니다.

질병분류코드란 무엇인가?

질병분류코드는 질병이나 사망 원인 등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기 위해 만들어진 표준화된 코드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세계보건기구(WHO)의 국제질병분류(ICD)를 기반으로 수정된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 코드 체계는 주로 다음과 같은 목적으로 활용됩니다.

  • 국가 단위 보건의료 통계 작성
  • 건강보험 진료비 청구 및 심사
  • 진단서 발급
  • 연구 및 정책 개발 자료 활용

KCD 코드는 A00~Z99까지 다양한 알파벳과 숫자의 조합으로 되어 있으며, 같은 질병이라도 세부 상태나 원인에 따라 분류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질병분류코드 검색이 필요한 이유

일반인이 질병분류코드를 알아야 할 상황은 의외로 많습니다. 예를 들어,

  • 건강검진 결과지를 이해하고 싶을 때
  • 보험금 청구서류를 작성할 때
  • 특정 질병에 대한 연구나 과제를 준비할 때

이럴 때 정확한 질병코드를 확인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잘못된 코드 사용은 보험심사 지연이나 서류 반려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질병분류코드 조회 방법 (통계분류포털)

질병분류코드 조회 방법

질병분류코드를 공식적으로 검색하려면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이 사이트는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를 포함하여 다양한 통계분류를 제공합니다.

질병분류코드 검색 메뉴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에 접속한 후 메뉴 중 ‘보건분류 > 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KCD)’를 클릭합니다.

좌측 메뉴 중 ‘검색 > 분류검색’을 클릭하고, 검색어를 입력합니다.

분류내용보기(해설서) 검색 결과
분류내용보기(해설서) 검색 결과

📌 참고: 분류내용보기(해설서)에서 검색을 할 경우, 보다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입력한 검색어에 해당하는 질병분류코드와 질병명이 리스트로 표시됩니다. 이때 코드와 상세 질병명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질병명질병분류코드
혈관성 치매F01
본태성(원발성) 고혈압I10
무릎아래 동맥류 및 박리I72.40
경부식도의 악성 신생물C15.0
질병분류코드 예시

검색 시 유의사항

  • 질병명을 너무 일반적으로 입력하면 검색 결과가 많을 수 있으니 가능한 구체적으로 입력하세요.
  • 약어(예: DM, HTN)는 인식되지 않을 수 있으므로 한글명 또는 표준 진단명을 입력하는 것이 좋습니다.
  • 코드 입력 시에도 정확한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하여 입력해야 합니다.

질병분류코드 검색이 제공하는 추가 기능

통계분류포털에서는 단순 검색 외에도 다음과 같은 기능을 제공합니다.

  • 분류체계 보기: 대분류-중분류-소분류 구조로 질병을 체계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 변경이력 확인: 과거 버전(KCD6, KCD7 등)과 현재 버전(KCD8) 간 코드 변경사항을 비교할 수 있습니다.
  • PDF 자료 다운로드: KCD 전체를 파일로 내려받아 오프라인에서도 조회할 수 있습니다.

결론

이상으로 통계분류포털에서 질병분류코드 검색하고 조회하는 방법에 대해서 살펴보았습니다.

이 코드는 단순한 숫자와 알파벳 조합이 아니라, 의료와 행정, 통계 전반에 걸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건강검진 결과 해석, 보험금 청구, 연구자료 수집 등 여러 상황에서 정확한 코드를 아는 것은 매우 유익합니다.

만약 코드 조회를 하고 싶은 순간이 오면, 통계청 통계분류포털에 들어가 직접 확인을 해보세요! 생각보다 간단한 검색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정확히 찾을 수 있어 업무나 일상에서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공직자통합메일 어플 다운로드 설치 방법

Leave a Comment